Scenario Settings 란? #
시나리오 파일을 사용자 맞춤으로 바꾸기 위한 설정입니다.
User Variable, Runtime 2가지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User Variable : 프로그래밍 언어의 변수와 같은 개념이며, 설정한 값을 스텝에서 참조할 수 있습니다.
- Runtime : 시나리오를 실행할 때, 스텝 간의 실행 간격을 조정하여 프로그램의 속도를 늦춥니다.
위 기능을 적용하려면 시나리오 작성 패널의 툴바에서 톱니바퀴 아이콘( )을 클릭하세요. 그러면 아래와 같은 시나리오 속성 창이 표시됩니다.
User Variable : 사용자 설정 변수 #
사용자 설정 변수 기능은 시나리오에서 자주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값을 미리 저장해 두고 사용하기 위한 값입니다.
액션 중 ‘Store Value‘가 비슷한 기능을 합니다.
차이점은 “Store Value”는 사용한 스텝 이후부터 설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지만,
“User Variable”로 만들어둔 값은 시나리오가 실행되는 첫 스텝부터 설정한 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설정 변수 만들기 #
시나리오 속성창에서 ‘+ Add’ 버튼을 클릭(①)하면 새로운 key와 value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이 출력(②)됩니다.
출력된 입력란에 key와 value를 입력한 다음, ‘Save’를 클릭하면 사용자 설정 변수가 만들어 집니다.
사용자 설정 변수 수정 / 삭제 하기 #
사용자 설정 변수는 수정 가능한 입력란 형태로 출력됩니다. key나 value 값을 수정한 다음, ‘Save’를 클릭하면 수정 사항이 저장됩니다.
비밀번호 등 보안이 필요한 값의 경우 value의 자물쇠 아이콘( ) 을 클릭하여 암호화할 수 있습니다.
암호화된 value 값은 마스킹 처리되어 출력됩니다.
암호화된 value 값은 수정 아이콘( )을 클릭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
단, 수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기존에 입력한 value 값이 삭제되어 다시 입력해야 합니다.
주의) 사용자 설정 변수를 생성, 수정, 삭제한 다음 반드시 ‘Save’ 버튼을 클릭해서 저장해야 작업한 내용이 적용됩니다.
참고) User Variable의 value field에 빈 값을 허용합니다.
① key 값 입력, value 값 미입력
② Save 버튼 선택합니다.
③ ‘The save has been completed.’ Toast popup 발생되며 정상적으로 저장 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설정 변수 사용하기 #
만들어둔 변수를 사용해야 하는 곳에 변수의 key값을 입력하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key값을 입력할 때는 ${key값}형태로 입력하셔야 합니다.
이는 작성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값이 일반 문자인지 변수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규칙입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만들어둔 변수인 age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age}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값은 age 변수를 설정할 때 value로 저장한 34가 됩니다.)
주의) 변수를 사용할 경우에는 반드시 변수의 key값을 ${key값}형태로 입력해주세요.
(사용자 설정 변수 사용하기 예제)
공통 시나리오의 사용자 설정 변수 #
공통 시나리오를 포함된 시나리오는 사용자 설정 변수 목록에 공통 시나리오에 설정된 사용자 설정 변수도 함께 출력됩니다.
Runtime #
기기의 하드웨어 성능 및 일시적인 인터넷 지연 등의 이유로 Stego 프로그램 속도가 기기의 속도보다 상대적으로 월등히 빨라져서 시나리오가 실패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엔 작성한 시나리오의 모든 스텝을 수정하는 것이 아닌, Runtime을 적용하여 시나리오 수행속도를 늦출 수 있습니다.
① 설정 아이콘을 선택합니다.
② ‘Runtime’ 메뉴를 클릭하여 진입합니다.
③ 다음 단계로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한 적절한 ‘Runtime’ 값을 설정합니다.
④ ‘Save’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저장합니다.
주의) 반드시 ‘Save’ 버튼을 클릭해서 저장해야 시나리오 실행 시 적용됩니다.
설정한 전역 대기 시간은 현재 선택된 시나리오 한 개에 대해서만 적용되므로, 필요에 따라 각 시나리오마다 전역 대기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